ABOUT ME

관심지식인 주식/정보처리기술사/IT개발/AI 관련 자료를 모아둔 지식창고 입니다.

Today
Yesterday
Total
  • (투자생각) 펌글.포즈랑.투자는 몰라서 못하는게 아니다.
    주식공부/투자원칙 철학 2021. 6. 7. 21:21
    728x90
    반응형

     

    [82화]특별게스트 포즈랑님-1부. 투자 성장기

    1천만 사용자와 함께 즐기는 국내 최대 팟캐스트 방송 서비스

    https://www.podbbang.com/channels/1768750/episodes/23583768

     

    포즈랑님 2부. 폭락장에서 종목 리밸런싱 & 유연한 투자

    1천만 사용자와 함께 즐기는 국내 최대 팟캐스트 방송 서비스

    https://www.podbbang.com/channels/1768750/episodes/23583771

     

    3부. 실패담- 3일만에 상폐 경험.

    1천만 사용자와 함께 즐기는 국내 최대 팟캐스트 방송 서비스

    https://www.podbbang.com/channels/1768750/episodes/23583773

     

    4부. 마지막 당부말씀. 투자보고서 작성요령

    1천만 사용자와 함께 즐기는 국내 최대 팟캐스트 방송 서비스

    https://www.podbbang.com/channels/1768750/episodes/23583777


    주공남 특별 게스트 포즈랑님

    약 1달만에 진행된 주공남 방송이라 더 반가웠다.

    방송 들으면서 인상 깊은 부분들 위주로 메모해보았다.

    투자는 몰라서 못하는게 아니라 안해서 안하는거다

    포즈랑님이 주린이들에게

    @ 투자 성과 소개

    전업 9년동안 원금대비 수익률 17~18배

    20%, 70%, 70%, 15%, 15%, 80%, 0%, 80%, 올해 20%.

    @ 분기마다 보고서 확인

    처음에는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끝까지 가보면 좋다. 시간이 얼마나 걸리든지.

    그 다음부터 시간이 줄어든다. 기억에 남아있는 회사들이 있어서.

    분기에 변화가 있을만하거나 관심있는 업종부터 봐도 됨.

    짜증나고 귀찮은 일이지만, 사업보고서에서 남들보다 회사의 변화를 먼저 찾아야 주가가 안올랐을때 살 수 있음.

    @ 투자 사례

    2012년은 배당이나 저PBR 위주였음.

    실적과 미래가치가 주가에 반영된다는 사실에 믿음이 없었던 것 같음.

    2013년부터 주력이 IT, 반도체 장비주 위주.

    5월에 저PBR 순으로 보니까 0.3~0.4 정도인 제우스가 걸렸음.

    하방도 충분하고 실적도 잘나올 여지가 있다고 생각하고 투자함

    수익률 250%. 2013~2014년 각각 70% 정도. 비중 50~60% 정도.

    그걸로 투자 성공 경험. 성공 경험이 중요.

    PBR 로 하방, PER 로 업사이드 봄.

    주가는 11월부터 움직임. 목표가에 늦게 도달해서 장기투자가 된 것.

    목표가 빨리 도달하는거 좋아함

    @ 3월 리밸런싱

    코로나 폭락장에서 주식 비중 90%. 현금 거의 없었음.

    전종목 -40~50% 종목들 잘라내고 리밸런싱

    코로나는 경제적 데미지가 너무 클 것이라고 생각함

    무역분쟁 같은 기존 위기에서는 그렇게 안하지만,

    이번에는 기업 환경과 모든 것이 바뀌었다고 판단해서 리밸런싱을 한 것임

    즉, 투자아이디어가 바뀐 것

    코로나와 무관하거나 더 잘될 수 있는 종목들의 비중이 높아짐

    실전에 가장 도움이 됐던 책, 앤서니볼턴의 투자의전설 인용

    '투자아이디어가 무너져서 충분히 싸진 상황이 되면 파시겠습니까? 더 사시겠습니까?'

    저도 반드시 팝니다.

    @ 투자스타일의 변화

    주가가 올라갈만큼 실적이 좋아져야함

    주가가 올라갈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만들어지는가에 집중

    2015년부터 PBR이 하방이 막아주는 요소가 점점 잘 없어서 이제는 집중투자 어려워짐

    그래서 다른 섹터들에 관심 갖기 시작했고, 분산하면서, ROE 나 BM 같은 다른 부분에 대해 생각을 많이 하게 됨

    종목을 늘린게 갑자기 늘린 것이 아님

    투자기준을 완화시키다보니까 분산하게 됨

    @ 직장인 투자에 대해

    직장인들 주식투자 최종 목표 보통 10~100억이라고 함

    직장에서 10~15년동안 얼마나 벌 것 같은가

    주식으로 벌고 싶은 돈이 그렇게 많은데, 직장에서 열심히 하는 것에 반의반의반은 하는가

    왕도는 없다. 그냥 하는 거다.

    돈 벌고 싶은만큼 열심히 하는거다.

    직장인이든 전업이든.

    @ 실패케이스

    2015년 상장폐지

    자신한테 무슨 일이든 일어날 수 있다는 걸 알아야 함

    투자를 할 때 항상 본인이 어떤 리스크를 가지고 있는지 생각해야 함

    @ 리포트 작성의 중요성

    투자모임을 참석하면 좋고, 여력이 안되면 리포트를 만들어야함

    리포트 만드는 과정이 중요함

    글로 정리하다보면, 생각으로만 '대충 그럴꺼야' 라던 부분들에서, 말이 안되는 빈공간이 생김

    ( 이 부분에서 피터케이님도 매우 공감하심 )

    @ 리포트 작성 양식

    * 기본사항 - PER, PBR, 시총, 주주구성 등

    * 재무제표 - 특이사항 체크

    - 매출채권은 많이 느는데 현금흐름이 안좋거나

    - 매출은 늘면서 재고자산이 더 빠르게 늘거나

    - 무형자산이 엄청 많거나

    - PBR은 괜찮은데 무형자산이 한가득이거나

    - 상폐당할 기업은 현금흐름이 안좋을수밖에 없음 (항상 그렇진 않지만)

    * 사업모델 - 어떻게 해서 돈을 버는지

    * 투자아이디어 - 어떻게해서 좋아질건지. 회사 실적이 좋아져야 주가가 잘 떨어지지 않음

    * 리스크 - 대주주, 대출 등

    * 결론 - 벨류에이션, 예상실적, 목표가

    - 목표가 50% 이상이면 투자 가치 생기는 것

    다 힘들다.

    근데 힘들어도 그냥 하는거다.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