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
당뇨병환자가 극심한 피로감을 느끼는 이유와 해결법건강 2023. 5. 17. 13:59
영양제보다 혈당조절이 우선이라고 함 피로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지만, 당뇨병 환자의 경우 혈당이 잘 조절되지 않을 때에도 피로감이 생깁니다. 혈액 속 포도당은 우리 몸을 움직이는 주요 에너지원으로 쓰입니다. 하지만 당화혈색소가 8% 이상, 혈당이 300~400으로 높을 경우, 혈액 속 포도당 농도가 높아져 소변으로 배출되는데요. 이때 영양분도 몸속에서 빠져나가 에너지원이 부족해져 피로감이 증가됩니다. 또 복용하는 약이 피로감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당뇨병 약물인 메트포르민을 고용량(2000~2500mg)으로 장기간 복용하면 장 내부 표면에 기능 이상이 생깁니다. 이로 인해 비타민B12가 부족해지면서 무기력감을 잘 느끼게 됩니다. 당뇨병 환자가 원인도 모른 채 무작정 영양제를 복용할 경우, 오히려 혈당..
-
탈모가 심한 경우, 두피관리는 어떻게 해야 하나?건강 2023. 5. 17. 13:53
출처: https://youtu.be/zPTSoBJNKwU 1. 두피 수분팩 - 뚜거운 물을 적신 수건을 꽉 짜주고 머리를 감싼다. 모공을 활짝 열고 각질 제거 준비 .. 10분 -15분 2. 두피 스크럽제를 바르고 가볍게 마사지한후 미온수로 씻어낸다 두피스크럽제 가 없다면 호호바 오일이나 레몬수를 사용 3. 화장솜에 토닉을 적셔서 두피에 붙여 수분과영양을 집중 공급 어렵다면 토닉을 뿌려도 됨 시원한 녹차를 솜에 묻혀 바르는것도 도움 4. 식물성 천연샴푸를 쓰자. 5. 콩을 자주 먹자 콩에 이소플라본이 많다고 함.
-
과민성 방광으로 인한 야간뇨 자가치료 운동법건강 2023. 4. 5. 10:16
과민성 방광의 증상과 치료 하루 8번 이상 소변 땐 과민성 의심…방광 근육, 배뇨 신경 이상이 원인 부끄러워 말고 병원서 치료 받도록… 카페인과 알코올 섭취 줄여야 화장실 가는 빈도가 늘고, 급기야는 소변을 참지 못하고 실금하는 증상까지 나타나 병원을 찾는 경우가 있다. 과민성 방광은 요로감염이나 다른 명백한 질환이 없으면서 빈뇨와 야간뇨가 동반되는 경우를 말한다. 즉 특별한 질병 없이 자주, 매우 급작스럽게 참을 수 없을 정도로 소변이 마렵고, 수면 중에도 자주 소변을 보는 질환을 일컫는다. 간혹 소변이 마려우면 참지 못하고 지리는 증상인 절박성 요실금이 함께 나타날 수 있다. 20세 이상 성인 인구 10명 중 1.6명에게서 나타나는 매우 흔한 질환이고, 65세 이상에서는 10명 중 3명이 과민성 방광..
-
(당뇨) [밀당365] 혈당지수가 그렇게 중요한가요?건강 2023. 3. 29. 21:16
혈당지수(GI)란 해당 식품을 섭취한 뒤 혈당이 상승하는 정도를 수치화한 것입니다. 혈당지수가 55 이하인 경우 저혈당 식품, 56~69는 보통, 70 이상인 경우 고혈당 식품으로 분류되는데요. 관련해서 한 독자분이 질문 남겨주셨습니다. 혈당지수가 그렇게 중요한가요? “혈당지수를 고려한 식단이 좋다고 들었습니다. 혈당지수를 어디서 참고하면 되는지, 식사에 어느 정도 활용해야 하는지 알려주세요.” Q. 혈당지수를 식단에 어떻게 반영하면 되나요? 혈당지수는 비슷한 식품끼리 비교할 때 활용하면 좋습니다. 예를 들어, 같은 양의 탄수화물이라도 보리밥의 혈당지수는 35.4, 흰쌀밥의 혈당지수는 69.9입니다. 혈당지수가 더 낮은 식품인 보리밥을 먹는 게 혈당관리에 좋은 선택이겠죠. 혈당지수는 동일한 식품의 조리법..
-
한국인 다소비 탄수화물 식품(밤, 팥)의 혈당지수와 혈당부하지건강 2023. 3. 29. 11:12
1. 찐 밤 혈당지수 = 57.8 혈당부하지수 = 2.1 찐 밤의 혈당지수 •찐 밤은 중 혈당지수에 속하지만 1회 섭취량(10g)이 적어 저 혈당 부하지수에 속한다. 그러나 간식으로 찐 밤을 먹을 때 적당 양 섭취 하기를 권장한다. 2. 군밤 혈당지수 = 54.3 혈당부하지수 = 2.0 군밤의 혈당지수 •군밤은 저 혈당지수에 속하고, 동시에 저 혈당부하지수에 속한다. 1회 섭취량에 주의하여 먹으면 혈당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3. 삶은 팥 혈당지수 = 26.5 혈당부하지수 = 1.8 삶은 팥의 혈당지수 •팥에는 수용성 식이섬유소가 풍부하고, 단백질 함량이 높아 전분의 소화속도를 늦추어 혈당지수를 낮춘다. •시중에서 판매하는 제품(빙수팥, 팥 앙금 등) 구입시 설탕 함량을 확인 한다 4...
-
한국인 다소비 탄수화물 식품(고구마)의 혈당지수와 혈당부하지수건강 2023. 3. 29. 11:03
1. 찐 고구마 찐 고구마의 혈당지수 혈당지수 = 70.8 혈당부하지수 = 15.5 •찐 고구마는 고 혈당지수에 속하는 식품이지만 1회 섭취량(70g)이 적어 중 혈당부하지수에 속한다. 따라서 1회 섭취량이 많아지면 혈당이 상승할 수 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섭취한다. 2. 군고구마 혈당지수 = 90.9 혈당부하지수 = 19.8 군고구마의 혈당지수 •군고구마는 고 혈당지수에 속하는 식품이지만 1회 섭취량이 적어 중 혈당부하지수에 속한다. 섭취량을 주의하지 않으면 혈당을 급격히 상승시킬 위험이 있다. 3. 고구마튀김 혈당지수 = 57.7 혈당부하지수 = 12.1 고구마튀김의 혈당반응 •식품의 단백질, 식이섬유, 지방 등 비전분 물질은 전분의 소화를 방해하게 된다. •조리에 사용된 지방은 소화 속도를 늦추어 ..
-
한국인 다소비 탄수화물 식품(감자)의 혈당지수와 혈당부하지수건강 2023. 3. 29. 10:50
1. 찐 감자 혈당지수 = 93.6 혈당부하지수 = 8.5 찐 감자의 혈당지수 •찐 감자는 고 혈당지수에 해당하지만 1회 분량(65g)이 적어 저 혈당 부하지수에 속하므로 적당한 양 섭취를 권장한다. •찐 감자를 섭취할 때에 설탕에 찍어먹으면 혈당지수를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2. 감자구이 혈당지수 = 78.2 혈당부하지수 = 7.1 건열조리와 혈당지수 •물을 사용하지 않는 건열조리는 식품의 중심부까지의 열의 침투가 습열조리에 비해 느려서 소화율을 낮춘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 책의 감자의 경우 찌거나 굽는 조리방법 모두 충분히 호화가 되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3. 감자떡 혈당지수 = 53.3 혈당부하지수 = 21.9 감자떡 섭취시 주의할 점 •일반적으로 감자떡에 소로 쓰이는 팥앙..
-
한국인 다소비 탄수화물 식품(쌀, 보리, 옥수수)의 혈당지수와 혈당부하지수건강 2023. 3. 29. 10:27
1. 흰쌀 혈당지수 = 69.9 혈당부하지수 = 51.2 •쌀밥은 중혈당지수에 해당하지만 1회 섭취량이 많아 고 혈당부하 지수에 해당한다. 따라서 주식인 쌀밥을 섭취할 때에는 다양한 식품군 (어육류군, 채소군 등)을 함께 섭취하면 혈당의 급격한 상승을 늦출 수 있다 2. 쌀죽 혈당지수 = 92.5 혈당부하지수 = 25.8 죽과 혈당반응 •전분입자는 열과 수분이 가해지면 팽창되어 점도가 증가하고 결정성을 잃어 소화와 흡수에 용이한 형태로 바뀐다(전분의 호화gelatinization). •호화된 전분은 전분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되기 쉬워 혈당지수를 높일 수 있다. 전분의 호화는 물의 양이 많고 가열시간이 길수록 더 잘되기 때문에 혈당지수가 상승하게 된다. •죽 섭취시, 혈당지수를 낮추기 위해서는 단백질(쇠고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