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직장인의 은퇴계획(66)
-
은행, 증권사 모두 이체 수수료 없이 달러 이체하는 방법
에스센스 수익 등이 있어서 달러수익이 있다면, 달러통장을 만들어 달러투자를 하고 있거나 해외주식거래를 한다면 한번 쯤 달러 이체를 해보셨을꺼예요. 은행별, 증권사별 환전에 드는 수수료가 다르고, 80%~100% 환율우대에 차이가 있는데 실제 달러를 모아두는 계좌는 또 해당 은행계좌가 아니라서 달러를 이체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쉽게도 국내 은행에서 달러를 이체할 때는 수수료가 드는데요. 수수료 없이 달러 이체하는 방법 정리해봤습니다. 1. 증권사간 달러 이체 증권사에서 증권사로 내 계좌로 이체할 경우에는 수수료가 들지 않습니다. 환전 시 수수료가 증권사간 다를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NH 나무의 경우 이벤트 때 계좌를 개설하셨다면 100% 우대라 최소한의 수수료만 내게 되는데 NH 계좌..
2023.05.03 -
[환테크] 기업은행 외화통장을 이용하여 키움증권으로 외화이체하는 방법
★★ PC로 진행 ★★ 모바일에서 타행이체를 하게되면 이체까지 2~3시간이 소요된다고 합니다. 외화를 이체 즉시 받고자하신다면 꼭 PC로 이체를 진행해주세요! 1. 인터넷뱅킹 접속 -> 외환 -> 외화이체 -> 국내실시간외화송금(금결원) 선택 2. 출금가능액 조회 후 외화 송금 진행 ※ 입금계좌번호는 키움증권 국민은행 외화 가상계좌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 송금 수수료 5천원이 발생되니, 송금금액은 수수료를 제한 금액으로 기재해주세요! 그리고 수수료가 적지 않으니.. 가능하면 외화를 모았다가 한번에 이체하는게 유리합니다. (저는 테스트 겸 엔화 200,000엔에서 송금수수료 512엔(한화로 대략 5천원)을 제하고 199,488엔을 이체하였습니다.) ※ 이체가능시간 : 은행 영업 시간 내(09:00 ~ 1..
2023.05.02 -
연금저축/퇴직연금IRP 연금수령전략
납입도 계획적으로, 수령도 계획적으로… 모든 저축의 궁극적 목적은 쓰기 위함입니다. 연금저축은 납입시 세액공제를, 운용시에는 비과세 혜택을 주는 절세계좌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혜택은 완전한 감면이 아닌 과세를 유예하는 것입니다. 세금을 감면/비과세 하다가 연금으로 받는 시점에 과세하는 “과세이연”이 연금저축과 퇴직연금 세제혜택의 본질입니다. 그래서 연금관련 계좌의 세금혜택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받을 때도 세금을 고려해 계획적으로 인출해야 합니다. 특히 2023년부터 세액공제한도가 확대됨에 따라 거액의 연금자산을 만들 수 있는 경우라면 인출에 대한 부분을 꼭 챙겨야 합니다. 연금, 어떻게 받을까요? 정부는 노후 안정을 위해 연금저축에 다양한 세제혜택을 줍니다. 대신 중도해지하거나 연금으로 받지 않으면 ..
2023.05.02 -
개인연금저축/퇴직연금 납입전략 및 추가납입
연금저축, 시작이 반이다?? 연금저축을 시작하는데는 고민과 결심이 필요합니다. 나에게 세액공제가 의미가 있을지, 해지하지 않을 자신이 있을지, 매월 또는 매년 꾸준히 적립할 수 있을지 등 많은 고민끝에 첫발을 디딥니다. 시작이 반입니다. 연금저축에 첫발을 디뎠으니 그냥 그대로 납입만 하면 되는 걸까요? 시작이 반, 천리길도 한걸음부터, 문제는 갈 길이 20년이 넘는다는 거… 얼마나 납입할 것인가? 세액공제 한도를 받을 수 있는 연금저축은 정확히는 연금저축계좌과 퇴직연금(IRP)의 추가 납입액,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IRP는 법적인 성격은 퇴직연금이지만 추가 적립과 관련한 절세혜택은 퇴직연금이 아닌 연금저축계좌의 기준을 따릅니다. 그래서 IRP의 추가 납입액을 연금저축 계좌 납입액과 함께 설명..
2023.05.02 -
개인연금계좌(연금저축, IRP)는 조삼모사? 전략적 운용방법
개인연금제도란 개인의 노후 생활 및 장래의 생활 안정을 목적으로 일정 금액을 적립하여 연금으로 수령할 수 있는 저축계좌이다. 연금저축과 퇴직연금(IRP)을 합쳐 연금 계좌라 하며 연간 1,800만 원까지 저축이 가능하다. IRP는 소득이 있어야 가입이 가능한 반면 연금저축은 소득이 있든 없든 미성년자든 성인이든 제한 없이 누구나 가입이 가능하다. 개인연금계좌(연금저축, IRP) 세제 혜택 1,800만 원까지 저축할 수 있지만 모두 세액공제를 받는 것은 아니며 연간 최대 700만 원 한도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연금저축은 연간 400만 원까지 세액공제받을 수 있기 때문에 IRP에 연간 300만 원을 저축해 세액공제 한도 700만 원 을 채울 수 있다. 예로 총급여가 5,500만 원 이하라면 최대 세액..
2023.05.02 -
연금저축 세액공제 한도 정리 (2023년 개정, IRP 포함)
연금저축 세액공제 한도 분석 포스팅을 작성 및 업로드하였습니다. 요즘 연말정산 때문에 연금저축과 IRP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들이 정말 많으신데요. 저 역시도 현재 연금저축과 IRP를 운용하고 있는 입장에서 관련 정보를 한번 정리할 필요가 있어보였습니다. 왜냐하면 2023년 부터는 이 한도가 개정되었기 때문이죠. 제가 직접 많은 자료를 조사하고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연금저축 세액공제 한도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연금저축과 IRP를 활용하여 노후도 준비하고 연말정산에서도 웃고 싶으시다면 아래를 집중해서 봐주시기 바랍니다. 연금저축 세액공제 한도 개정 연금저축 세액공제 한도 늘어났습니다. 일단 2022년 전까지의 한도는 모두 잊어주시기 바랍니다. 왜냐하면 총급여액에 따라서, 연금저축과 세액공제 한도가 ..
2023.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