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관련(50)
-
기획서 작성요령
첫번째, '분석하지 말고 통찰한다.' - 복잡계(Complex System)의 세상에 있어서 광고기획서를 쓰는 데 소비자 분석, 시장 분석, 제품분석 등을 제대로 하려면 처음부터 골때리고 질립니다. 분석할게 오죽 많이 있습니까? 사실 광고주는 그런 분석에는 별 관심이 없습니다. 우리보다도 더 잘합니다. 분석을 제대로 잘해야 좋은게 나온다고 하지만 더 중요한 건 지금 무엇이 가장 중요한 이슈인가를 찾는 鳥瞰적 관점에서 상황을 직시하는 날카로운 통찰이 필요합니다. 두번째, '수단보다는 목적을 중요시한다' - 광고기획서는 꼭 이런 수단과 방법대로 해야 한다는 원칙론적인 것에 얽매어서는 목적달성을 그르칠 수 있습니다. 그런 원칙주의가 아니라 광고주 설득 목적에 맞는다면 아무 것이나 상관없다는 목적 최우선주의가 ..
2021.09.01 -
[제안서작성법] 경쟁사 분석
제안서를 쓰는데 있어서, 지피지기해야 백전불태한다는 것은 익히 잘알고 있는 사실. 그런데 문제는 제안서를 쓰는데 있어서 상대방을 이기기 위한 것을 고민한다기보다 자신의 강점을 어떻게 포장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더 많이 하는 경향이 있다. 불멸의 이순신을 보면 그안에 나오는 대사중에 이런 말이 있다. "적을 물리칠 수 있는 기회는 적에게서 나온다." 제안서를 쓴다는 것은 반드시 적이 존재한다는 것이고, 그것을 이기기 위해 각종 매복과 기만, 용병술과 기습전, 전면전 등 다양한 전술적 시도가 난무하게 된다. 때문에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경쟁사 분석이다. 일반적인 제안서를 작성할때에는 경쟁사에 대한 SWOT 분석을 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된다. [제대로 활용하는 실무 노하우] SWOT 분석과 전략 수립 ..
2021.08.30 -
[제안서작성법] 입찰제안서 심사시 반드시 자사 인력에 대한 구성 고찰
입찰제안서 심사시에는 반드시 인력에 대한 구성을 본다. 제안서를 쓰게 되면서 안에 있는 내부 인력들에 대해서 반드시 고민을 해야 해. 즉, 자사의 역량이라고 말할 수 있는 인력들이 그 수주를 하려는 사업에 맞아떨어지는가에 대한 문제야. 본사의 인력구성은 어떠한가 사람들은 제안을 볼때 사람들을 겪고나서 보는 것이 아니라 서류상으로만 심사를 하게 되지. 따라서 경력과 기술등급 등을 중요시 볼 수 밖에 없어. 그게 유일한 평가지표이기 때문이야.그래서 해당 프로젝트를 수행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경력이 매우 중요한거지. 제안 발표시 심사위원은 조직구성과 이력서를 보게 되고, 반드시 묻게 돼. "저 인력구성으로 프로젝트 수행이 가능합니까" 하고 말이야.. 거기에 이력서가 구리다거나 해당 기술의 경험이 약하다면 문제가..
2021.08.30 -
[제안발표]1장 제안배경 및 목적
[제안발표]1장 제안배경 및 목적 제안배경 및 목적을 만들었다면 희귀한 사항이 아닐 경우에 제안발표장표에 꼭 들어가는 거야. 발표장표에 들어간다는 것은 이 제안에 대해서 심사나 평가를 하는 사람들이 꼭 보게 된다는 뜻인 거지. 그리고 발표시에도 대부분 첫번째 부분에 내용이 들어가게 된다. 그렇다면 발표자는 무엇을 말하는 것이 좋을까? 1. 선행업체가 존재하고 후발주자인 경우의 예시 본 OOO사업은 현재 제안배경에서 가지고 있는 XXX문제점 등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가지고 있는 사업이며, 이는 전문적인 인력 배분 및 신속하고 정확한 솔루션 적용, 그리고 위험발생의 선제적대응을 통해 현재 운영되고 있는 시스템의 무중단 서비스를 보장하면서 전체 운영 서비스의 이관 등 최신 기술이 적용되어야 하는 중요한 사업..
2021.08.30 -
[제안서 작성법]1장 제안배경 및 목적
[제안서 작성법]1장 제안배경 및 목적 이제 각 제안서에 대해 작성하는 방법을 말하고자 한다. 제안서를 쓰는데 있어서 1장은 가장 중요하다. 1장은 제안개요로 배경 목적 뿐만이 아니라 사업의 범위, 제안전략, 제안사의 특장점, 향후 발전방향등 제안서에 들어가는 전체적인 내용의 개요장표가 되기 때문이고, 이것은향후에 발표장표에 대부분 다 들어가는 내용이기도 한다. 그중에서 우선 먼저 배경 및 목적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만드는 스타일을 알아보자. 지금 보는 도형을 잘 기억해.. 지금 보는 도형은 제안서의 가장 기본이 되는 도형이야. 물론 다른 응용되는 것들도 많이 있겠지만, 기본 골격이 되는 이미지라고 생각하면 돼. 쓰는 순서는 위에서부터 결과, 과정, 원인의 순으로 제안서를 작성하게 되면, 사람들은 ..
2021.08.30 -
개발자와 프로그래머의 차이, 개발자의 생명은 커뮤니케이션 능력2
프로그래머와 개발자는 다르다.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 전에 프로그래머와 개발자의 차이에 대해 명확히 하려 한다. 먼저 프로그래머는 컴퓨터를 이용해서 프로그램을 만들거나 수정하는 일을 하는 사람이다. 프리랜서로 일하면서 외주 프로젝트를 맡거나 학교 과제를 하면서 프로그래밍을 하는 사람들 모두 프로그래머라 할 수 있겠다. 반면, 개발자는 회사나 조직에 소속이 돼서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하면서 개발을 사는 사람이다. 즉 어딘가에 소속이 돼서 규칙이나 규율 혹은 그 조직의 원칙을 가지고 일을 한다면 개발자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정리해 보자면 모든 개발자는 프로그래머지만 모든 프로그래머는 개발자는 아니다. 프로그래머와 개발자를 굳이 나누어서 말하는 이유는 개발자에게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절대적으로 필..
2021.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