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
-
-
Visual Studio Codeの使い方java 2021. 3. 31. 15:29
Visual Studio Codeの使い方 広告 Visual Studio Code をこれから利用される方を対象とした Visual Studio Code 入門です。 Visual Studio Code はマイクロソフト社が開発提供しているコードエディターです。 Windows や macOS など様々なプラットフォーム上で利用することができます。ここでは Visual Studio Code のインストール方法や日本語化の方法、基本的な利用方法とカスタマイズ方法などについて解説します。 Visual Studio Codeのインストール ファイルとフォルダの操作 エディターの使い方 統合ターミナルの利用 Visual Studio Codeの設定とカスタマイズ Visual Studio Codeのインストール Visual Studio Codeのダウンロードとインストー..
-
자바 concurrent 프로그래밍 기본java 2021. 3. 26. 11:29
process와 thread 프로세스(Process): 컴퓨터에서 연속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말하는 것으로 여러개의 프로세서를 사용하면 멀티프로세싱이고 여러개의 프로그램을 같은 시간에 시분할 방식으로 돌리면 멀티태스킹이라 말한다. 쓰레드(Thread): 프로세스내에서 실행되는 흐름의 단위를 말하는 것으로 하나의 프로그램은 최소한 하나의 쓰레드(main thread)를 가진다. 프로그램에 따라 둘 이상의 쓰레드를 동시에 실행할수 있는데 이를 멀티쓰레드라고 부른다. I/O와 NIO 5주차- 대규모트래픽 분산처리를 위한 자바 서버개발 문서에 자바 기본 I/O와 NIO에 대한 설명을 볼 수 있다. thread 사용의 위험성 race condition 상황이 발생함. 여러 개의 thread가 동시에 실행..
-
자바 애플리케이션의 메모리 문제 해결 - jps, jmap, jhatjava 2021. 3. 26. 11:19
들어가며... 얼마전 운영중인 시스템에서 장애가 발생했다. 로그를 보니 OutOfMemoryError가 났다. 그런데 도대체 어디가 문제인지 모르겠다..... 메모리 덤프를 뜨고 어디서 메모리가 세고 있는지 보고 싶지만 엄두가 안난다. 메모리 덤프는 어떻게 떠야 하지? 덤프는 어떻게 보는거지? 뭘 봐야 하는거지?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다 보면, 특히 서버/웹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다보면 OutOfMemoryError (또는 OutOfMemoryException. 이하, OOME)을 종종 만나게 된다. 그런데 OOME는 보통 개발중에는 발견되지 않고 서비스를 운영하는 도중에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 때 도대체 어디서 문제가 생기는 것인지 발견하기도 상당히 어렵다. 그래서 각종 모니터링 상용툴을 사용하..
-
자바 테스트 프레임워크 직접만들기java 2021. 3. 26. 11:13
켄트 백이 쓴 "테스트 주도 개발" 책을 보면 파이썬을 활용해 테스트 프레임워크를 직접 만들어 가는 과정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테스트 프레임워크를 학습하고 있는 언어로 직접 만들어 봄으로써 새로운 언어에 대해 많은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테스트 프레임워크를 직접 만드는 것과 관련해서는 이일민씨의 테스팅 프레임워크는 직접 만들어 써보자 글에서도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 이 글에서 다루고 있는 문서 중 JUnit A Cook's Tour 문서를 보면 테스트 프레임워크를 만들면서 학습할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 패턴에 대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JUnit A Cook's Tour 문서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디자인 패턴 그림을 가져오면 다음과 같다. 이 글에서는 켄트 백이 쓴 "테스트 주도 개발" 책..
-
SLiPP:: 위키 자바와 웹프로그래밍java 2021. 3. 26. 11:08
나중에 시간되면 읽어봐야 겠다. www.slipp.net/wiki/display/java/Home
-
위키 솔루션이 필요하다면 XWIKI를 고려해 볼만 하다.java 2021. 3. 26. 10:36
위키 솔루션이 필요하다면 XWIKI를 고려해 볼만 하다. 사용자 The most admired 2018. 11. 11. 23:21 회사 팀 내부에서 사용할 위키가 필요해서 여러가지 검토를 하였다. 기존에 사용하던 레드마인과 한때 내가 좋아했던 트랙도 있지만 두 솔루션들은 위키 기능 보다는 버그 트랙킹 기능에 중점을 두고 있는 관계로 우리가 원하는 목표와 맞지는 않았다. 위키를 검토하면서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필요로 했다. 웹 베이스여야 한다. 사내 표준이 자바인 관계로 가급적이면 자바로 작성되어 있으면 좋다. 위키 기능이 제공되어야 한다. 위키 작성, 공개, 커멘트, 계층형 구조 등. 검색 기능이 제공되어야 한다. (매우 중요) 파일 첨부 기능이 제공되어야 하며 파일에 대한 전문 검색 기능이 제공되어야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