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024/09/21) 이중항체플랫폼, ADC 항암치료제 개발 - 에이비엘바이오주식공부/보유종목 2024. 9. 21. 17:42
시총 1조 5855억 코스닥 22위차트 잘 모르지만 전고점 돌파 할 듯 한 분위기, 비중확대 1. 비즈니스 모델이중항체 플랫폼을 바탕으로 한 기술이전이 사업모델임상 2상 이전단계에서 조기 기술이전을 통한 현금유입을 노림 2. 투자아이디어금리인하로 인해 바이오섹터 강함- 24년 하반기 기술이전 기대- 25년 상반기 사노피 임상1상 종료- 25년 이중항체 ADC 임상진입 기대 3. 22일 상승 가능성 높아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793443?sid=001[서울=뉴시스]황재희 기자 =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가 글로벌파트너사 아이맵과 지난 13일부터 17일(현지시간)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된 ‘유럽종양학회 2024’(ESMO 2024)..
-
(2024/09/21) RNA 원료제조, 생물보안법 수혜주 - 에스티팜주식공부/보유종목 2024. 9. 21. 17:37
#에스티팜 #생물보안법 #바이오 시총 2조 3473억 코스닥 16위 1. 기업개요에스티팜은 신약원료 의약품 및 제네릭 원료의약품 판매사업 영위올리고당 CDMO 부문 글로벌 생산량 규모 3위 이내, 지속적인 증설 2. 투자아이디어, 비즈니스모델 분석 (수익성)[에스티팜] 향후 얼마나 벌까?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https://m.blog.naver.com/flash777_/2235521… 렉비오 : 5,000억~1조펠라카르센 : 3,000억이메텔스타트 : 3,000억올레자르센 : 2,000억베피로비르센 : 1조질레베시란 : 1조합 : 3.3~3.8조영익 : 약 1조 (30% 가정) + mRNA 포함 3,000개의 개발 중인 약들 (여기서 또 굵직굵직한 약물들이 튀어나올 것) 극 보수..
-
(2024/09/21) 고기능성 소재, 창상치료제 제조 회사-티앤엘 종목분석주식공부/보유종목 2024. 9. 21. 17:21
바이오섹터, 시총 5730억 52주 신고가 갱신전 비중확대 의견 #티앤엘비중 확대 필요 52주 신고가 77,000 돌파 가능성 높아 1. 고기능성 소재 기술 전문기업 모든 형태의 창상치료제를 제조하는 회사 특히, 하이드로 콜로이드가 주력 상처 치료용에서 미용용으로 확대 19년 침투율 0.2% > 23년 침투율 6.4% 2. 여드름 패치로 시작하여 스킨케어까지 확장이 일어날 것 25년까지 급격한 성장이 나올것으로 기대 3. 상처치료제 해외 온오프라인 2:8 매출의 80%는 ODM 브랜드 국내 시장 점유율 60% 4. 상처치료제 88% 깁스 7% 기타 5% 수출 70% 약 40개국 50여개 업체에 수출 북미 80% 5. 마이크로 니들 기능성 화장품 단계에서 궁극적으로 의약품시장 목표 기술적 허들이 많음 (2..
-
(리포트요약) 엔저를 활용하는 법, 일본 ETF 투자 - NH투자증권주식공부 2024. 3. 17. 10:15
1. 일본 주식시장 상승 배경과 전망 가. 상승 이유 기업 이익 증가 (엔저 효과) 밸류에이션 재평가 (일본정부와 거래소의 재평가 노력) 외국인 중심의 수급 나. 전망 일본 주식시장의 추가 상승이 가능하다고 판단됨 일본 TOPIX의 PBR 2012년 1.08배 -> 현재 1.5 일본 TOPIX의 ROE 2012년 3.3% -> 현재 8.9% 일본 주식시장의 밸류에이션이 고평가상태로 보기 어려움. NISA 등 절세계좌에서의 개인투자자 수급도 기대 일본은행의 통화정책 전환으로 인한 엔화의 일부 강세 개인생각 (이러면 기업이익 증가가 둔화되어 주가가 더가지 못하지 않을까?) 2. AI 수혜 반도체와 BOJ 통화정책 고려한 금융, 고배당주 ETF 전략 일본 개별주식은 개인투자자에게 다소 생소하고 백주단위로 거래..
-
국내 제약/바이오/의료기기 상세분류 (2024. 03.11 기준 시총)주식공부/산업공부 2024. 3. 16. 19:02
1. CMO - 항체 삼성바이오로직스 59조 6438억 P/E(24년기준) 51.3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2768억 바이넥스 4348억 P/E(24년기준) 24.6 2. CMO - RNA 에스티팜 - 1조 4577억 P/E(24년기준) 26.2 파미셀 - 3391억 3. CMO - 유전자 재조합 SK바이오로직스 - 4조 8017억 P/E(24년기준) -77.5 4. 시밀러 셀트리온 - 39조 3144억 P/E(24년기준) 36.1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 5108억 5. 제약사 - 대형제약사 SK바이오팜 - 7조 3536억 P/E(24년기준) 62.1 유한양행 - 5조 9776억 P/E(24년기준) 28.8 한미약품 - 4조 2789억 P/E(24년기준) 25.1 종근당 - 1조 4610억 P/E(24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