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덱스 비즈니스모델
월덱스는 크게 실리콘파츠와 쿼츠파츠로 나뉩니다.
알루미나 쪽도 있긴 하지만, 매출의 큰 비중은 실리콘파츠와 쿼츠파츠가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 모두 기존의 설명했던 반도체 8대공정 중 식각과 증착(확산) 공정에 쓰이는 제품이 주를 이룹니다.
특히 포커스링은 가이드링과 다르게 웨이퍼를 고정시키는 ESC Chuck(정전척) 위에 웨이퍼를 고정시키는 역할이며 제일 효능이 좋은 SiC링을 납품하는 티씨케이가 주로 납품을 하고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gFEqV/btroeciuLMF/kR6YGXjmXKAxsd7CkJzpG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UWVpu/btrodBJAYkM/LIW0bEMNnCh4r3qrjaAwk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TiMfa/btrn8IKrBoo/ttozkzyf8N4iDk8rGUc9P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M9AIO/btroce2CTpb/NVwztPxl8avOWXTnc8leK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C5bve/btrocBcfh4o/qHgp0ndf8AvVPYqFx1LAXK/img.png)
실리콘의 제품도 많기 때문에 원익QnC와의 경쟁상대가 안될 수도 있습니다. 또한, 타겟 고객층 또한 조금 다르긴 합니다.(월덱스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인텔 등 칩메이커 위주가 주 고객층입니다.) 매출비중을 보면
![](https://blog.kakaocdn.net/dn/odPuK/btroasnhCKH/ceaSKV3zcCgizPkAKBZnM0/img.png)
꾸준히 매출액은 증가하고 있지만, 실리콘 파츠의 비율은 2021년도 2분기 56퍼센트, 쿼츠 파츠는 26퍼센트를 기록중입니다.
그리고 이 회사도 원익QnC와 마찬가지로 자회사를 통하여 수직계열화를 시켜놨습니다. 바로 2009년에 인수한 WCQ입니다. 구조도 및 그림으로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rRiXJ/btrocTX8H11/bL6yXLk1Xitl7ZkYAHRPU0/img.png)
그렇다면, 이 자회사와 월덱스 영업은 어떻게 하고 있을까요? 연결기준으로 봤을 때는, 에프터마켓 비중이 높다고 해도 영업이익률이 매우 높습니다.(2020년도부터 20퍼센트 유지)
![](https://blog.kakaocdn.net/dn/ztrem/btrocBpLsLQ/pxloImW6Tg9j5erTlCbc01/img.png)
그러면서 판관비율도 매우 낮게 유지하고 있습니다. 영업레버리지가 발생하고 있을 수 있다고 생각이 드는 차트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qMea6/btrodADTOfK/nsXygvFJsV8wHguGakIDUk/img.png)
매출원가율은 소폭 하회, 유지하고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tNgOF/btrodS5xxOt/fDMjn4usNsBVyXZxnYyiz0/img.png)
인플레이션이 심한데 원익QnC와의 IR통화에서도 알 수 있듯이 진짜 이쪽은 인플레이션 영향이 덜 한 거 같다는 생각이 드는게 재무제표 상 원재료 가격을 팔로우업 해볼 시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단위: USD/1kg)
* 모멘티브의 업황이 좋아진 것이 인플레이션 역할이 아니냐고 의심했던 게 미안해집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nfTSr/btrobZSbbAX/cfhjVUaEK1G1krylrG4HtK/img.png)
WCQ만 따로 떼놓고 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오후 중구난잡한 그래프가 나왔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Lna9Q/btroc4yrIZh/PcqbgRYfFyfpKvCf0JVBl1/img.png)
연도별로 쪼개보자면, 확실히 WCQ도 2019년도를 빼고는 성장하고 있습니다. 2021년은 2분기까지 매출액 465억, 당기순이익 1,519억을 기록하고 있는데 3,4분기에 어떻게 될지가 중요할 것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SGlLe/btrobUDxrgl/UQDyn6vB0BEkaLSAQznjj0/img.png)
재고자산은 2021년도 역대급을 기록하고 있으며 재고자산회전율은 3회 정도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H8MOR/btrocqWfyzx/VAbIF8tOpsKrkGt2oZZglk/img.png)
제가 차트화 해보고 놀랐던 점은, 아래의 차트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MlUKP/btrocdinhyh/Is9j6G9PbsKFuGAZK93Kk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ErYHJ/btroc46jn3x/39zKWWXSUV2B3BFd9uLxCK/img.png)
월덱스의 생산능력은 아마 부품이 여러개이기 때문에 생산능력을 정확히 추이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전방산업을 보며 증감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WCQ의 실리콘의 생산능력이 점점 올라가고 있습니다. 실리콘잉곳에 대한 수요가 많다고 판단을 할 수 있지 않을까요? (+ 그럼 실리콘 비중이 계속 늘어나면 원익QnC 쿼츠와는 경쟁이 크게 안 될 수도? 고객사도 다르니?)
생산능력 뿐만 아니라 아래의 생산실적 또한 같이 상승중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5il2p/btrocBDhRSW/wkLmBPRSmvkspGKGGnFd9K/img.png)
그리고 NH투자증권에 따르면 2022년 3분기에는 신규동 2개가 같이 추가로 돌아간다고 합니다. 2022년 3분기면 현재 말하고 있는 메모리 업황 반등, DDR5와의 시기와도 겹칠 수도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XE3gd/btrodBv12bR/gwkkcFODFoparHnrFNKzs0/img.png)
분기 보고서 상의 케파 증설과 관련된 내용도 첨부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5cZKm/btrodADTOcI/2SAnNaEb8VnZowgqHzYEd1/img.png)
추가로 현금흐름은 아래와 같이 양호하게 유지하고 있으며 2021년도 2분기는 신규공장 관련한 케팩스 증가가 큰 이유로 보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G9amh/btrob7JnASU/HD1JJwbRkAmwKD2mLt8Mb1/img.png)
직원 수는 공장이 증설되는 속도와 비슷하게 증가하고 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tNmDY/btrn8Hrduhc/H2FXvGWkSKCW7AFca1wJz1/img.png)
현재, 시총은 약 3,800억이며 당기순이익 345억 가정 시 21. PER는 11배 남짓 2022년 당기순이익 445억 가정 시 22.PER는 8.5배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5XzuX/btrocUpeUYM/GwKyhKeWzqbxUw0EokZOWK/img.png)
원익QnC의 투자아이디어와 겹치는 투자아이디어가 3개 있다고 생각됩니다.
월덱스 투자아이디어 + 에프터마켓이라지만 엄청난 영업이익률 + ROE
- 자회사(WCQ의) 성장성
- 2022년 케파 증설 효과
- 싼 가격
분량이 많지만, 한번에 블로그에 다 쓰고 싶은 마음에 한번에 다 써보려고 합니다.
[출처] 원익QnC의 경쟁사 - 월덱스, 코미코, 아이원스|작성자 겸하